-
IDE란?
IDE IDE는 통합 개발 환경(inter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, IDE)은 통합된 개발 환경으로 , 개발자를 위한 종합 프로그램을 말한다. 쉽게 말해 개발 도구 모음집이라고 보면 된다. 대표적인 IDE로는 비쥬얼 스튜디오와 이클립스가 있다. 하나의 프ㅗ그램 안에서 해당하는 언어 JAVA 와 C 등의 프로그래밍을 처리하는 도구를 뜻한다. IDE는 어떤 기능이 있을까 ? IDE의 주요 기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텍스트 에디터(Text Editor) 작성한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빌더(Builder)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없는지 체크해주는 디버거(... Read More
-
[Database] SQL 이란?
SQL 이란 ?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, 구조적 질의 언어)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(RDBMS)을 제어하는 컴퓨터 언어이다. SQL은 1970년대에 IBM에서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관계형 모델이라는 이론에서 파생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, 현재 SQL의 표준으로 ANSI SQL이 정립되었다. 각 DBMS 프로그램에서 ANSI SQL을 기반으로 개발된 개별 SQL 을 사용하며 서로 근소한 차이를 보인다. 간략요약 : SQL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커다란 체계 SQL 쿼리문 의 분류 SQL 쿼리문의 역할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된다. DDL(Data D... Read More
-
[운영체제] 스케줄링 알고리즘
스케줄링 알고리즘 운영체제는 실행할 준비가 된 프로세스들이 적절히 CPU를 배정받아 효율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하고, 이를 위해서 다양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활용한다. 01. 스케줄링 성능 평가 기준 1) 평균 대기시간 각 프로세스가 수행이 완료될 때까지 준비 큐에서 기다리는 시간의 합의 평균값 2) 평균 반환시간 각 프로세스가 생성된 시점부터 수해이 완료된 시점까지 소요시간의 결과값 02. 다양한 스케줄링 알고리즘 01) FCFS 스케줄링 (1) SJF(Shrtest Job First) 스케줄링 비선점 스케줄링 알고리즘 준비 ... Read More
-
[운영체제] 프로세스(Process)
01. 프로세스(Process)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운영체제로부터 프로그램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자원을 할당받아 동작을 시작한다. 이처럼 실행 상태에 들어간 프로그램을 프로세스라고 한다. 프로세스의 동작 CPU가 그 프로세스의 명령들을 실행하는 것이다. 이때 CPU도 기억장치나 입출력장치와 마찬가지로 프로세스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자원이다 운영체제는 실행할 준비가 된 프로세스들이 적절한 CPU를 배정받아 효율적으로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관리해야한다. 이번 강의에서는 운영체제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쓰레드의 개념을 학습하고, 스케줄링의 정책에 대하여 살펴본다. 0... Read More
-
[운영체제] OS
운영체제의 개요 운영체제는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이다. 컴퓨터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편리해지는 만큼 사용자를 위해 컴퓨터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자원의 관리나 활용이 효율적으로 동작해야하는데, 운영체제는 그 근간을 이루는 핵심적인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. 이번 강의에서는 운영체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프로세스 관리자, 메모리관리자, 파일 관리자의 역할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학습하고, 운영체제의 유형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자. *** 01.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(1)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: 사용자 ,응용 소프트웨어 , 시스템... Read More